본문 바로가기

주식 일지

지극히 주관적인 주식일지 - 2025년 2월 10일

 


지수/매매 현황

매매 현황 (단위: 억)

 트럼프 관세 우려에 장 초반 하락하다가 하락세 만회하며 코스피는 약보합, 코스닥은 상승 마감

▷ 삼성전자의 강세

▷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들 급등

▷ 코스닥에선 엔터/게임 관련주들의 강세

 

 


관심 종목/업종/테마

🔼 상승 테마

  1. 2차전지(전고체)
    • 현대차그룹, 3월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본격 가동 소식
    • 전고체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 높고 화재 위험 적어 '꿈의 배터리'로 불림
    • 연구개발 성과: 한국전기연구원(KERI), 생산시간 대폭 단축한 '업그레이드형 공침법' 개발
    • 관련주: 유일에너테크, 이수스페셜티케미컬, 한농화성, 씨아이에스, 대주전자재료
  2. 반도체 관련주
    • 2분기 낸드 가격 반등 전망 및 K칩스법 기대감 지속
    • 글로벌 반도체 기업 감산 가속화 → 가격 하락세 진정 예상
    • K칩스법 논의 재개: 반도체 R&D·시설투자 세액공제 연장 및 공제율 상향 검토
    • 관련주: 삼성전자, DB하이텍, 삼양엔씨켐, 레이크머티리얼즈, 하나머티리얼즈, 사피엔반도체
  3. 로봇/인공지능(AI)
    • SK그룹, SK텔레콤 주축으로 AI 로봇 사업 본격화
    • 그룹 내 지능형 공장(인텔리전트 팩토리) 구축 및 AI 로봇 기술 상용화 추진
    • 테슬라 ‘옵티머스’ 대량 생산 채용 공식화 → 관련 기대감 상승
    • 관련주: 피아이이, 피제이전자, 유일로보틱스, 디아이씨, 휴림로봇
  4. 게임/모바일게임
    • 트럼프 관세 우려 제한적, 원화 약세로 글로벌 매출 증가 가능성
    • 2025년 주요 게임사 신작 출시 기대
    • 관련주: 컴투스, 밸로프, 이스트소프트, 시프트업, 넷마블, 엔씨소프트
  5. 엔터테인먼트/음원/음반
    • 트럼프 관세 영향 無, BTS 완전체 활동 재개 기대감
    • 블랙핑크 월드투어 예정
    • 관련주: SM엔터, YG엔터, 하이브
  6. 비철금속
    • 트럼프, 미국 철강·알루미늄 전면 관세 부과 발표
  7. 우크라이나 재건/건설기계
    • 우크라이나 종전 논의 기대감
  8. 음식료업종
  • 식품·외식업체 가격 인상

🔽 하락 테마

  1. 철강
    • 트럼프, 철강 25% 관세 부과 우려
  2. 자동차 대표주
    • 미국 상호 관세 가능성
  3. 조선/조선기자재
    • 차익실현 매물 출회
  4. 기타 하락 테마
    • 인터넷 대표주, 피팅/밸브, 여행(Yanolja), 전선, 화학섬유, 편의점, 홈쇼핑, 항공기부품, 모듈러주택, 낙태/피임, UAM, 초전도체, 전력설비

 


관심 리포트

NAVER: AI를 통한 코어 비즈니스 성장 가속 기대 (교보증권)

 

투자의견
  • 투자의견: Buy(매수) 유지
  • 목표주가: 285,000원 (종전 254,000원 대비 +12.2%)
  • 현재주가: 225,500원 (02/07 기준)
  • 상승여력: +26.4%

 

실적
  • 4Q24 실적:
    • 매출 2.89조원(+13.7% YoY)
    • 영업이익 5,420억원(+33.7% YoY, 컨센서스 부합)
    • OPM 18.8% (YoY +3.4%p)
  • 2025년 전망:
    • 매출 11.81조원(+10.0% YoY)
    • 영업이익 2.32조원(+17.1% YoY)
    • 순이익 1.96조원(+5.3% YoY)
    • OPM 19.6%, NPM 16.6%

 

주요 내용
  • AI 기반 광고 최적화: 서치플랫폼(검색·디스플레이 광고) AI 적용으로 광고 집행 최적화 → 2025년 매출 YoY +10% 예상
  • 커머스: 플러스스토어 앱 출시, 멤버십 제휴, 배송 개선 등으로 성장 지속 → 2025년 매출 YoY +12.2% 전망
  • 핀테크: 스마트스토어 성장 및 외부결제 확대 → 핀테크 결제액 YoY +18.3%
  • 클라우드: 사우디 디지털트윈 매출 발생 등으로 YoY +41.1% 성장
  • 비용 관리: 인력 배치 최적화, AI 기반 광고 효율화로 비용 절감

 

AI 기반의 검색/커머스/핀테크 성장 가속화
비용 효율화로 수익성 개선 지속