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주식 일지

지극히 주관적인 주식일지 - 2025년 2월 7일

 

 

 

주식 시장에 반골은 도움이 안되는 듯

 

 


지수/매매 현황

매매 현황 (단위: 억)

 코스피, 외국인/기관의 동반 순매도로 하락 마감

 코스닥은 로봇/유리기판 관련주의 강세로 소폭 상승

▷ 삼성바이오로직스 급등하며 시총 3위 등극

▷ 대왕고래 1차 시추 결과 실망감에 관련주 급락

▷ 제약/바이오, 2차전지 업종은 약세

 

 

 


거래 순위

거래 대금 순위

 거래 대금 상위에 조선과 로봇, 유리기판 관련주

▷ 반도체 대형주는 약세

▷ 호실적 발표 후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승세 지속

▷ 조선 관련주들은 약세 지속

▷ 인터넷 대표주와 제약/바이오 업종도 약세

 

 


관심 종목/업종/테마

🔼 상승 테마

  1. 유리 기판
    • 삼성전자가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을 추진하면서 관련 종목 상승
    • 삼성은 유리기판 상용화를 위해 여러 소재·부품·장비(소부장) 업체들과 협력 중
    • 독자적인 공급망 구축을 계획하며, 첨단 패키징 관련 인력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진행
    • 📈 관련주: 램테크놀러지, 필옵틱스, 와이씨켐, 한빛레이저, 켐트로닉스, 씨앤지하이테크, 기가비스, SKC
  2. 로봇 (산업용/협동 로봇 등)
    • 테슬라 휴머노이드 로봇 '옵티머스' 대량 생산 기대감으로 상승
    • 테슬라는 제조 엔지니어, 프로세스 엔지니어, 제조 기술자 채용 중
    • 일론 머스크는 올해 '옵티머스' 1,000대 생산 목표 발표
    •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한국 방문 후 로봇 협력 가능성 시사
    • 📈 관련주: 대동기어, 휴림로봇, 클로봇, 디아이씨, 레인보우로보틱스, 유일로보틱스
  3. 스마트폰/갤럭시 부품주/온디바이스 AI
    • 삼성전자 '갤럭시S25' 사전 판매 호조로 관련주 상승
    • 국내 사전판매량 130만 대 기록하며 역대 최다 판매
    • '갤럭시 AI' 기능이 탑재된 두 번째 AI폰으로, AI 기반 개인화 경험 제공
    • 📈 관련주: 심텍, 제주반도체, 네패스, 네패스아크, 가온칩스, 아모그린텍, 코리아써키트, 덕산네오룩스
  4. 우크라이나 재건/건설기계/모듈러주택
    • 러시아-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 지속
    • 독일 뮌헨안보회의(MSC)에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美 부통령 회동 예정
    • 푸틴-트럼프 회담 가능성 제기
    • 📈 관련주: 전진건설로봇, 현대에버다임, 대모, 혜인, 에스와이스틸텍, TYM, HD현대건설기계, 범양건영, 에스와이
  5. 방위산업/전쟁 및 테러
    • 현대로템, 지난해 방산 부문 실적 호조
    • 매출 4.37조원(+21.99%), 영업이익 4,565억(+117.36%) 기록
    • JP모건, 목표주가 7.1만 원 → 10만 원 상향
    • 폴란드 K2 전차 2차 이행계약 및 중동·루마니아 추가 수주 기대
    • 📈 관련주: 현대로템, 엠앤씨솔루션, 삼현, SNT다이내믹스, RF시스템즈,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


🔽 하락 테마

  1. 원자력 발전
    • 한국수력원자력, 슬로베니아 원전 수주전 포기 소식으로 하락
    • 체코 원전 및 SMR(소형모듈원전) 사업 집중을 이유로 수주 불참 결정
  2. 동해 석유·가스전(대왕고래 관련주)
    • 대왕고래 1차 시추 결과 실망감에 관련 테마 하락
    • 📉 관련주: 피팅(관이음쇠), 밸브, 자원개발, 철강 중소형, 강관업체, LPG, 셰일가스, 남-북-러 가스관사업
  3. AI 전력 인프라
    • 전선, 전력설비, 냉각시스템(액침냉각 등) 테마 하락
  4. 기타 하락 테마
    • 인터넷 대표주, 윤활유, 국내 상장 중국기업, 2차전지(생산), 보톡스, 풍력에너지, 원격진료, 정유, AI 챗봇(챗GPT 등), 코로나19 관련주, 해저터널, 물류, 조선기자재, 게임, 생명보험 등

 

 

 


미국장 현재

'25. 02. 07  11:00
시장 약세. 3대 지수 모두 하락 중


실업률 4.0%로 전달 대비 0.1% 하락
고용 시장의 강세 지속으로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하락
국채 10년물 수익률 상승

원전 에너지 관련주들의 강세
빅 테크 기업들의 막대한 인공지능 투자에서 수익이 나기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우려로 빅 테크 기업 주가 약세

 

 

 


관심 뉴스/일정/이슈

“네카오에 물렸던 개미들, 드디어 빛 보나”…AI 올라탄 4총사가 뜬다는데 (매일경제)
  •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하드웨어 기업이 타격받는 반면, 소프트웨어 업종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주목받음
  • 네이버·카카오 등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AI 기술 개발과 R&D 투자 확대를 통해 성장 가능성 기대
  • 이스트소프트는 AI 소프트웨어 사업을 강화하며 흑자 전환 예상, 높은 PER로 고위험·고수익 종목 평가
  • 더존비즈온은 기업용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안정적인 매출과 높은 이익률을 유지하며 성장 지속 전망
  •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AI 기술 적용과 사용자 기반 확대를 통해 투자 매력도를 높이고 있음

 

‘대왕고래 경제성 없다’ 발표에 관련주 줄하락 (매일경제)

 

  • ‘대왕고래 프로젝트’ 1차 탐사 시추 경제성 없음 판정, 관련주 급락
  • 한국가스공사 -13.82%, GS글로벌 -6.88%, 포스코인터내셔널 -3.61%
  • 화성밸브 -16.26%, 동양철관 -10.06% 등 수혜주도 큰 낙폭
  • 야당 원점 재검토 촉구로 프로젝트 추진 불확실성 증가
  • 6개 유망 구조에 대한 추가 탐사 가능성 여전히 존재, 7~8월 최종 분석 예정

 

 

비에이치아이, 10년來 최대 실적…"원전·LNG 슈퍼사이클 올해도 지속" (아시아경제)

 

  • 비에이치아이, 10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
  • 2023년 매출 4048억 원(+10.2%), 영업이익 235억 원(+56%), 순이익 199억 원(+166.8%)
  • 일본·중동 등 해외 발전 설비 수주 증가 영향
  • 1조4800억 원 사상 최대 신규 수주, 향후 안정적 성장 전망
  • LNG·원전 시장 호황 지속, 북미 등 신규 시장 개척 추진
  • 170억 원 규모 파생상품 평가손실 공시, 실제 현금 유출 없음

 

 

에이피알, 애경산업 넘어섰다…‘뷰티 빅3’ 지각변동 [언박싱] (헤럴드경제)

 

  • 뷰티 업계 ‘빅3’ 지각 변동 예상, 에이피알 매출 애경산업 추월 전망
  • 에이피알, 해외 매출 비중 51%, 미국·중화권·일본 중심 확장
  • LG생활건강, ‘더후’ 중국 시장 호조, 뷰티 매출 2조8506억 원(+1.2%), 영업이익 1582억 원(+8%)
  • 아모레퍼시픽, 해외사업 매출 1조6789억 원(+20.6%), 영업이익 1042억 원 흑자 전환
  • K-뷰티 경쟁 심화, 브랜드 리뉴얼·신제품 전략 지속 전망

 

 

 


관심 리포트

더존비즈온: 돈 버는 AI (신한투자증권)

 

투자의견
  • 투자의견: 매수 (유지)
  • 목표주가: 110,000원 (상향, 기존 대비 10.0% 상향)
  • 현재주가: 88,000원 (2월 6일 기준)
  • 상승여력: 25.0%

 

실적
  • 4Q24 실적: 매출액 1,115억원(+8.0% YoY), 영업이익 294억원(+24.9% YoY), 영업이익률 30.7%(+2.3%p QoQ)
  • 실적 서프라이즈: 4분기 영업이익은 추정치를 19.4% 상회. OneAI, Amaranth10 매출 비중 증가 및 비용 통제 효과
  • 2025년 예상 실적: 매출액 4,528억원, 영업이익 1,034억원, 순이익 653억원
  • 전망: OneAI와 Amaranth10 가입률 상승세 감안 시 실적 성장 지속 전망. 비수기에도 OneAI 수익성 돋보일 것

 

주요 내용
  • AI S/W(OneAI, Amaranth10)가 이끈 기대 이상의 실적.
  • OneAI: 매월 500~600개사 신규 고객 유입.
  • Amaranth10: '25년말 누적 기준 4,000개사 확보 목표.
  • 고마진 제품군 Amaranth10 및 OneAI 침투율 확대로 수익성 개선 가속화, 연결 자회사들의 실적 변동성 완화
  • 25년 EPS 2,074원에 목표 PER 53.0배 적용 ('20~24년 평균 PER에 20% 할증)

 

AI 기반 소프트웨어의 성장과 수익성 기대
높은 밸류는 부담
but, 실적 성장과 신사업 기대감으로 상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