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수/매매 현황
▷ 트럼프발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에 지수 상방 제한
▷ 파월 의장의 경제 낙관론에도 시장은 혼조세
▷ 2차전지/전기차, 미용기기 업종 강세
▷ 반도체, 엔터 업종은 약세
▷ 정제마진 개선 및 러시아 정유소 손상 소식에 정유 관련주 강세
거래 순위
▷ 방산주에서도 일부, 로봇주에서도 일부만 강세
▷ 2차전지, 비철금속, 정유 업종 관련주들 강세
▷ 반도체 대형주, 엔터주들은 약세
관심 종목/업종/테마
🟥 상승 테마 및 관련주
✅ 의료/미용기기
- 메디컬 디바이스 수출 증가 기대
- 파마리서치, 국산 미용기기 개발. 글로벌 제품과 경쟁 예고
- 관련 업종: 미용 의료기기, 화장품
- 관련주: 파마리서치, 휴젤, 에이피알, 클래시스 등
✅ 2차전지/전기차
- 하반기 배터리 업계 실적 개선 기대감
- 미국의 GPU 규제 강화에 따른 반도체 및 전기차 성장 전망
- 관련 업종: 2차전지 생산/소재/부품, 전고체, 폐배터리, 전기차
- 관련주: 에코프로비엠, 알멕, 나노신소재, 포스코퓨처엠, LG에너지솔루션 등
✅ 방위산업
- K2 전차 폴란드 2차 수출 계약 (약 9조원) 기대
- 신냉전에 따른 방위비 증가 전망
- 관련 업종: 방산, 무기 제조
- 관련주: 한화시스템, 한국항공우주, 현대로템 등
✅ 기타 상승 테마/종목
- 정유 - 러시아 대형 정유소,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으로 손상 (S-Oil, SK이노베이션 등)
- 증권 - 대체거래소 출범에 따른 수혜 기대 (키움증권, 유안타증권, 유진투자증권 등)
🟦 하락 테마 및 관련주
✅ 중국 소비 관련
- 중국 경제 디플레이션 우려 증가
- 음반 판매량 저조
- 관련 업종: 영상콘텐츠, 엔터, 게임, 여행, 카지노 등
- 관련주: 에이스토리, CJ ENM, JYP Ent. 하이브 등
✅ HLB 그룹
- 간암 신약의 FDS 승인 루머에 장중 변동성 심화.
- 관련 업종: 제약, 바이오
- 관련주: HLB, HLB글로벌, HLB생명과학 등
✅ 우크라이나 재건
- 시장의 재건 기대감 감소
- 삼부토건, 주가조작 의혹
- 미국 및 EU의 재건 지원 발표 나오는지 주시 필요
- 관련 업종: 건설, 건설로봇, 모듈러주택
- 관련주: 아이톡시, 전진건설로봇, SG, 에스와이스틸텍, 대동기어 등
✅ 기타 하락 테마/종목
- 철강 - 미, 한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% 관세 부과 발표 (현대제철, POSCO홀딩스 등)
- 원전
- 화장품
미국장 현재
'25. 03. 10 11:00
나스닥 (-3.5%), S&P 500 (-2%) 급락
다우는 상승 중 (+0.7%)
국채 수익률은 하락
나스닥, 고점 대비 13% 하락
S&P500, 200일선 하향 돌파
기술주 및 금융주들 급락
경기 둔화 우려에 트럼프 시장 개입 기대감 약화에 따른 투매
불안정하고 변동성 큰 장세
관심 뉴스/일정/이슈
HLB 간암신약 '리보세라닙' FDA 허가 발표 임박...널뛰는 주가 (머니투데이)
- HLB의 간암 신약 ‘리보세라닙’ FDA 승인 여부가 3월 20일까지 결정될 예정이며, 주가는 미확인 정보로 인해 급등락 중.
- FDA는 작년 5월 보완요구서한(CRL)을 통해 제조 공정 및 임상 실사 문제를 지적했으며, HLB는 이를 해결하고 다시 허가를 신청한 상태.
- 승인 시 국내 기업 최초로 글로벌 임상부터 FDA 승인까지 직접 수행한 국산 항암제가 되지만, 거부될 경우 기업 가치 급락 가능.
- 경쟁사 BMS의 ‘옵디보+여보이’ 병용요법이 유럽에서 승인되며 경쟁 심화 우려, 반면 유럽종양학회(ESMO) 가이드라인에 등재된 점은 긍정적.
- 중국 견제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HLB 측은 영향이 없다고 주장하며, 향후 자체 생산 계획도 고려 중.
“건설업보다 더 암울”…최악의 침체 맞은 석유·화학, 신용도 줄하향 위기 (매일경제)
-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의 신용등급이 상반기 정기평정에서 하향될 가능성이 커졌으며,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이 주요 대상.
- 롯데케미칼은 EBITDA 대비 순차입금이 18.5배로 증가하며 등급 하향 조건을 충족, 3년 연속 적자를 기록 중.
- HD현대케미칼도 영업이익률 5% 미만 및 순차입금 의존도 50% 초과로 등급 하향 가능성이 높아졌으며, LG화학도 신용등급 하락 우려.
- 국내 부실화 기업이 2023~2024년에 32개로 급증했으며, 대부분 차입금 의존도 50% 이상 또는 부채비율 300% 초과 기업.
- 신용등급 하락의 주요 원인은 장기 불황과 재무 악화이며, 기업들의 재무적 위험 감내 능력이 거의 없는 상태로 평가됨.
"박보검 드라마 재밌네" 제작사 상한가 직행…선례 살펴보니 (머니투데이)
- 팬엔터테인먼트, 10일 장 중 상한가 3435원 기록, 52주 최고가 달성.
- '폭싹 속았수다' 첫 공개 후 전 세계 TV쇼 6위, 다수 국가 1위.
- 드라마에 아이유, 박보검, 문소리 등 유명 배우 출연.
- 과거 '오징어게임 시즌2' 등 콘텐츠 관련주 급등 후 급락 사례 있음.
- 증권사, 실적 연동 여부 분석 후 투자 전략 필요성 강조.
관심 리포트
엠씨넥스: 1Q 실적 호조, 최고 위치를 재탈환 전망 (대신증권)
1️⃣ 투자의견
- 투자의견: BUY (유지)
- 목표주가: 34,000원 (3% 상향)
- 현재주가: 23,400원 (2025년 3월 7일)
- 상승여력: 45.3%
2️⃣ 실적
- 1Q25 실적 전망
- 매출액 3,384억원 (YoY 17.6%, QoQ 13.4%), 영업이익 162억원 (YoY 6.7%, QoQ -12.1%)
- 기존 추정 대비 매출액 10.4%, 영업이익 22% 상향
- 2025년 실적 전망
- 매출액 1.33조원 (YoY 26.1%)
- 영업이익 602억원 (YoY 35.7%)
- 삼성전자 내 카메라 모듈 업체 중 가장 높은 성장률 예상
- 실적 호조 요인
- 갤럭시 S25 등 삼성전자 스마트폰 내 카메라 모듈 및 구동계 점유율 증가, 믹스 효과 (고가 비중 확대)
- 전장부품 매출 증가 및 ASP 상승
3️⃣ 주요 내용
- 삼성전자 내 점유율 확대
- 2022년~2023년 베트남 공장 이슈 및 점유율 하락으로 실적 부진
- 2024년 고객사 신뢰 회복, 갤럭시 S24 및 고가 A 시리즈 카메라/구동계 공급 확대로 실적 개선
- 경쟁사 애플 집중으로 인한 삼성전자 내 구동계 점유율 확대, 폴디드줌 관련 매출 증가
- 전장부품 사업 성장
- 2022년 1,763억원에서 2025년 2,839억원, 2026년 3,016억원으로 매출 증가 예상
- 현대자동차 1차 공급업체 전환 효과, 자율주행 적용 확대
- 테슬라 자율주행 서비스 제공 (2025년 하반기 예정)에 따른 성장 기회
4️⃣ 결론
- 삼성전자 내 점유율 확대
- 전장부품 사업 성장
'주식 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Stock's 주식일지 - 2025년 3월 12일 (0) | 2025.03.13 |
---|---|
WiStock's 주식일지 - 2025년 3월 11일 (0) | 2025.03.12 |
WiStock's 주식일지 - 2025년 3월 7일 (1) | 2025.03.08 |
WiStock's 주식일지 - 2025년 3월 6일 (1) | 2025.03.07 |
WiStock's 주식일지 - 2025년 3월 5일 (0) | 2025.03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