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주식 일지

WiStock's 주식일지 - 2025년 3월 5일

 

 


지수/매매 현황

매매 현황 (단위: 억)

 외국인의 코스피에서의 순매도 지속, 언제까지 팔려는지

 미국의 관세 완화 기대감 및 중국 경기 부양 기대감 

▷ 트럼프의 알래스카 가스 사업 발언으로 가스 관련주들 급등

▷ 트럼프의 첫 의회연설에서 보여준 미국의 분열이 시장에 좋은 영향을 줄 것 같지는 않은데...

 

 

 


거래 순위

거래 대금 순위

 개별 이슈가 있는 로봇 관련주와 가스 업종의 종목들이 급등

▷ 철강 관세의 영향으로 비철금속 관련주들의 강세 지속

▷ 조선/해운 관련주들도 거래 대금 상위

▷ 관세 우려로 하락세였던 자동차는 반등

 

 


관심 종목/업종/테마

상승 테마 및 관련주

 조선/LNG/철강

  • 트럼프, 알래스카 LNG 가스관 사업에 한국 참여 압박
  • 미, 조선업 전담 사무국 신설 계획 발표
  • 관련 업종: 조선, LNG, 강관, 피팅, 자원개발
  • 관련주: HJ중공업, 한화오션, HD한국조선해양, HD현대중공업, 현대힘스 등

화장품/미용기기

  • K-뷰티 흥행 지속 및 중국 경기 부양 기대감
  • 에이피알 - 목표주가 상향 리포트
  • 관련 업종: 화장품, 미용기기, ODM, OEM
  • 관련주: 에이피알, 한국화장품제조, 코스맥스, 아이패밀리에스씨 

 2차전지/전기차

  • 인터배터리 역대 최대 기업 참가
  • 배터리 업계 실적 개선 기대
  • 관련 업종: 2차전지 생산/소재/장비, 전기차, 리사이클
  • 관련주: POSCO홀딩스, 포스코퓨처엠, 에코프로, 나노신소재 등

 우크라이나 재건

  • 젤렌스키, 미/우 광물 개발협정 서명 준비 소식
  • 관련 업종: 건설기계, 모듈러주택, 로봇
  • 관련주: 전진건설로봇, 아이톡시, 대동기어, SG, HD현대건설기계 등

 기타 상승 테마/종목

  • 방산/우주항공 - EU 방위비 증액, 미 국방차관의 후보 동북아 동맥국 방위비 증액 요구(이노스페이스, LIG넥스원 등)
  • 로봇 - 클로봇, 레인보우로보틱스와 MOU 소식이 급등 (클로봇, 레인보우로보틱스 등)
  • 양자암호 : 중, 슈퍼컴보다 1천조 배 빠른 양자컴퓨터 개발 발표 (아이씨티케이, 에이엘티, 엑스게이트 등)


하락 테마 및 관련주

금융/은행

  • 수익성 둔화 우려
  • 미국 금융 관련주들의 하락
  • 관련 업종: 금융, 은행, 보험
  • 관련주: 신한지주, BNK금융지주, KB금융, 삼성생명 등

콘텐츠/엔터

  • 중국 양회 기대감 지속 속 차익 실현 매물 출회
  • 관련 업종: 엔터, 영상콘텐츠, 음원
  • 관련주: CJ ENM, 에이스토리, 에스엠, JYP Ent. 등

 

 

 


미국장 현재

'25. 03. 05  12:30
증시 반등 시도
경기 둔화 우려와 투자심리 회복 공존

포드 - 미, 캐나다/멕시코 자동차 관세 유예 가능성에 상승

 

 

 


관심 뉴스/일정/이슈

한 달새 40% 빠졌던 이 업종…美 재무장관 한 마디에 불기둥 (매일경제)
  • 미국 재무장관이 "핵에너지에 큰 투자" 발언 후 미국 원전주 반등, SMR 기업 뉴스케일파워(+12%), 오클로(+5.24%) 상승
  • 원전주 하락 원인: AI 기술 발전으로 에너지 소비 감소 가능성 제기, 농축 우라늄 가격도 한 달 새 10% 하락
  • 미국, 에너지를 안보 문제로 인식하며 원전·LNG 수출 확대 추진, 유럽의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낮추려는 전략
  • 뉴스케일파워, 4분기 매출 3420만 달러(전년比 +643%), 비용 절감 성과로 투자심리 개선
  • 국내 원전주도 상승, 두산에너빌리티(+5.49%), 비에이치아이(+8.87%), 우리기술(+3.72%), HD한국조선해양(+6.58%)

 

개인들도 수백억원 손실 가능성…휴지조각된 홈플러스 단기채권 (매일경제)
  • 홈플러스가 회생절차 신청 직전까지 70억 원 규모 단기채 발행 → 개인·기관 투자자 손실 우려
  • 대주주 MBK파트너스는 자산 매각으로 투자금 회수, 국민연금·기관투자자 등은 후순위로 손실 가능성↑
  • 홈플러스 노조, MBK의 무책임한 경영 비판 → 매장 폐점·대량 해고 우려
  • 금융당국, 홈플러스 회생절차 모니터링 중 → 거래업체 정산 이슈 점검
  • 금융감독원장, 사모펀드(PEF) 기업 인수 규제 강화 예고

 

닻 올린 대체거래소... 애프터마켓에 수요 몰렸다 (파이낸셜뉴스)
  • 국내 첫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개장(4일), 총 거래대금 202억 원, 거래량 43.5만 주 기록
  • 애프터마켓(15:30~20:00) 거래대금 114억 원(56%)으로 메인마켓(88억 원)보다 활발
  • 넥스트레이드 거래대금 비중, 한국거래소 대비 29% 차지 → 투자자 관심 집중
  • 와이지엔터테인먼트 거래대금 155억 원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 차지, 가장 거래량 저조한 종목은 골프존
  • 개장 첫날 무난한 출발, 800개 종목 확장(이달 말) 후 안정적인 투자 수요 형성 여부가 관건

 

이쯤되면 “트럼프 이거 맞아?”…관세폭탄 부메랑에 美금융주 곡소리 (매일경제)
  • 미 금융주 JP모간(-3.98%), 뱅크오브아메리카(-6.34%), 씨티그룹(-6.25%) 등 2023년 지역은행 파산 이후 하루 최대 낙폭
  • 트럼프 행정부의 캐나다·멕시코·중국 대상 고율 관세 시행 → 경기 불확실성·소비 위축 우려
  • 미국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 증가(샌프란 20.1%) → 은행 대출 부실 우려 확산
  • 나스닥지수 -0.35%(18,285.16), 최근 고점 대비 9.36%↓ → 기술적 조정 국면 진입
  • JP모건 전망, 미국 증시 ‘전술적 약세’로 하향 조정, "관세 정책 지속 시 GDP·기업 실적 전망 악화 가능" 경고
 

 

 


관심 리포트

글로벌텍스프리: 올리브영과 K-뷰티로 실적 '리프팅' (DS투자증권)

 

1️⃣ 투자의견

  • 투자의견: 매수(유지)
  • 목표주가: 6,500원 (상향)
  • 현재주가(02/28): 4,370원
  • 상승여력: +48.7%

2️⃣ 실적

  • 2024년 
    • 매출액: 1,297억 원 (+38.9% YoY)
    • 영업이익: 218억 원 (+47% YoY, OPM 16.8%)
    • 순이익: 54억 원 (코로나 이후 첫 흑자전환)
    • 주요 성장 요인
      • 텍스리펀드 사업 매출 1,000억 원 돌파 (+50% YoY)
      • 일본 법인 첫 영업 흑자 달성
  • 2025년 전망 (상향)
    • 매출액: 1,708억 원 (+31.6% YoY)
    • 영업이익: 311억 원 (+42.9% YoY, OPM 18.2%)
    • 순이익: 165억 원 (+204.8% YoY)

3️⃣ 주요 내용

  • 외국인 관광객 소비 증가
    • 피부미용·성형 시장 성장 → 24년 12월 기준 피부과 소비액 +169%, 성형외과 소비액 +53% YoY
    • 25년 1월 피부과 소비액 564억 원(+127.8% YoY), 성형외과 소비액 +33.7% YoY
    • 올리브영 24년 외국인 매출 +140% YoY → 25년에도 +100% 이상 성장 예상
  • 텍스리펀드 사업 호조
    • 올리브영, 피부과·성형외과 환급 매출 비중 증가 (전체 환급 매출의 40~45%)
    • 일본 법인 26년 제도 개선 기대감
  • 목표주가 상향 조정 이유
    • 외국인 관광객 증가 및 K-뷰티 성장세 반영
    • 올리브영, 의료관광(피부·성형) 부문의 높은 성장성

4️⃣ 결론

 

  • 외국인 관광객 유입 증가 → 피부미용·성형·K-뷰티 소비 확대
  • 텍스리펀드 사업 지속 성장 → 일본 법인 첫 흑자 달성
  • 올리브영, 피부과·성형외과 부문 매출 증가 → 안정적 수익 구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