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주식 일지

지극히 주관적인 주식일지 - 2025년 1월 17일

 

 

있을 때 잘해야지 
보내고 나서 후회해 봐야

 

 


지수/매매 현황

매매 현황 (단위: 억)

 외인/기관 동반 매도세
트럼프 취임식 경계감
▷ 제약/바이오, 조선, 자동차 업종 하락
▷ 반도체, 전력설비, 원전 업종 강세 but, 삼성전자는 하락

 

 

 


거래 순위/업종

거래 대금 순위

▷ LS 그룹주 강세
▷ 방산/우주항공, 조선 업종 약세
▷ 반도체, 유리기판 업종 급등
▷ 자동차 대형주 하락

 

 


관심 종목/업종/테마

LS ELECTRIC
+15.05%
머스크의 xAI에 전력기기 공급
미국 빅테크 기업과 배전반 공급 협의 소식

 

반도체
SK하이닉스 6세대 D램 최초 양산 소식
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의 설계/제조 기술이 국가전략기술에 추가

 

유리기판
SKC, 미 정부로부터 1억 달러 지원금 지급

 

전력설비
AI 데이터센터 투자 경쟁에 따른 수요 증가 전망
AI/전기차 급성장에 따른 전력 부족

 

원전
미 웨스팅하우스와 지적재산권 분쟁 종결 합의

 

조선, 제약/바이오
방산/우주항공, 양자암호

 

 

 


미국장 현재

'25. 01. 17  10:00
지수 모두 강세

인텔 - M&A??

 

 

 


관심 뉴스/일정/이슈

머스크 수주·빅테크 납품 협의 소식에…LS그룹 주가 폭주 (매일경제)
  • LS그룹 종목, 미국 고객사 수주 소식에 급등하며 LS에코에너지·LS네트웍스 상한가 기록
  • LS ELECTRIC,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의 xAI에 전력기기 공급 소식으로 15.05% 상승
  • LS ELECTRIC, 미국 빅테크 3곳과 배전반 납품 협의 중으로 기대감 확대
  • LS머트리얼즈·LS마린솔루션·LS·LS증권 등 LS그룹 계열사도 큰 폭의 상승세
  • AI 산업 성장과 전력기기 수요 증가 전망이 LS그룹의 밸류체인 강화에 긍정적 영향
 
에이치브이엠, 美나스닥 Praxair와 유리기판 타겟팅 기술 공동 개발 (파이낸셜뉴스)
  • 에이치브이엠, 나스닥 상장사 프랙스에어와 퓨어 Ta 스퍼터링 타겟 공동 개발
  • 퓨어 Ta, 높은 순도 요구로 전자빔용해와 진공아크재용해 기술 사용
  • 스퍼터링 공정, 반도체 소자 제조에 활용되며 증착 능력과 내열성이 우수
  • 탄탈륨(Ta), 반도체 메모리·HDD·캐패시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
  • Ta/TaN, Cu 확산 방지용 막으로 반도체 칩 내 고온 안정성과 효율성 제공

 

LG CNS '몸값 6조' …LG엔솔 이후 최대규모 [시그널] (서울경제)
  • LG CNS, IPO 공모가를 희망 밴드 최상단인 6만 1900원으로 확정
  • 확정 공모액 1조 1994억 원, 시가총액 5조 9972억 원으로 LG에너지솔루션 이후 최대 규모
  • 기관투자가 수요예측 경쟁률 114대1, 총 주문액 76조 원 기록
  • 의무보유확약 비율 10.6%, 공모주 청약은 21~22일 KB증권 등 통해 진행
  • LG, LG CNS 지분 49.95% 보유로 순자산가치 증가 기대

 

 

 


관심 리포트

엘앤에프: 테슬라 효과 기대되나, 성장 모멘텀 확보 필요 (한화투자증권)

 

투자의견
  • 투자의견: Buy (유지)
  • 목표주가: 130,000원 (하향 조정)
  • 현재주가: 87,700원
  • 상승여력: ▲48.2%
실적
  • 2024년 예상 매출: 1,927억 원 (-58.5% YoY)
  • 2025년 예상 매출: 2,855억 원 (+48.1% YoY)
  • 2024년 예상 영업손실: 485억 원
  • 2025년 예상 영업이익: 32억 원
주요내용
  • 4분기 실적: 출하량 증가에도 재고평가손실 등으로 대규모 적자 지속
  • 2025년 기대 요인: 테슬라 신규 모델 출시 및 NCMA95 출하 본격화로 2분기 이후 판매량 회복 전망
  • 리스크 요인: 노스볼트 파산 신청, 높은 원가 리튬 반영으로 수익성 회복 더딤
  • 성장 동력: 안정적 수요처 확보 및 투자 사이클 재개 필요

 

중장기 성장 정체
테슬라 신모델 모멘텀
LFP 양극재 개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