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주식 일지

지극히 주관적인 주식일지 - 2025년 2월 19일

 

 


지수/매매 현황

매매 현황 (단위: 억)

외국인/기관의 동반 순매수로 코스피 7거래일 연속 상승

메모리 반도체 업화 개선 기대 등으로 반도체 업종 크게 상승

▷ 2차전지/전기차 업종도 강세

▷ 제약/바이오 업종은 약세

 

 

 


거래 순위

거래 대금 순위

 13% 급등한 삼성중공업과 조선주들이 강세

▷ 반도체 대형주 및 소부장 관련주들 강세

▷ 포스코 그룹주들 급등

▷ 방산, 로봇 관련주들은 하락

 

 


관심 종목/업종/테마

📈 상승 테마 및 관련주

반도체

  •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강세, K칩스법 기재위 통과, 메모리반도체 업황 개선 전망
  • 관련 업종: 반도체 생산, 반도체 장비/재료/부품, HBM(고대역폭메모리), 시스템반도체
  • 관련주: 삼성전자(+3.16%), SK하이닉스(+4.05%), 한미반도체(+8.74%), HPSP(+3.95%), 이오테크닉스(+7.58%), 인텍플러스, 하나마이크론

조선/LNG

  • 美 LNG 수출 확대 기조, 오만 Asyad의 대규모 선박 발주 기대
  • 관련 업종: 조선, 조선기자재, LNG선박
  • 관련주: 삼성중공업(+13.92%), HD현대중공업(+4.68%), HD현대미포(+4.20%), HD현대마린솔루션, 한국카본, 한화엔진

2차전지/전기차

  • 도요타-LG엔솔 美 공장 배터리 구매 합의, 이스라엘 스토어닷 한국 투자
  • 관련 업종: 2차전지, 전기차, 리튬 관련
  • 관련주: LG에너지솔루션(+4.42%), 에코프로(+3.24%), 에코프로비엠(+5.30%), 포스코퓨처엠(+7.16%), 삼성SDI(+3.91%), 알멕(+5.78%)

AI 데이터센터(냉각시스템)

  • 한국에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 건설 추진
  • 관련 업종: 냉각시스템(액침냉각)
  • 관련주: GST, 한중엔시에스, 케이엔솔, 워트

✅ 기타 상승 테마

  • 게임


📉 하락 테마 및 관련주

✅ 제약/바이오

  • 트럼프, 의약품 관세 25% 이상 추진 소식
  • 관련 업종: 줄기세포, 제대혈, 제약업체, 바이오시밀러, 면역항암제, 유전자 치료제
  • 관련주: 삼성바이오로직스(-1.62%), SK바이오팜(-4.57%), 한올바이오파마, 에스티팜, 알테오젠(-2.03%)

✅ 양자암호/양자컴퓨팅

  • 美 양자컴퓨팅 관련주 급락 영향
  • 관련 업종: 양자암호, 양자컴퓨팅
  • 관련주: 아이윈플러스, 엑스게이트, 한국첨단소재

✅ 우크라이나 재건

  • 美-러 종전 협상 영향,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기대감 약화
  • 관련 업종: 건설기계, 모듈러주택, 
  • 관련주: 디와이디, 전진건설로봇, SG, 에스와이스틸텍

✅ 기타 하락 테마

  • 방산/우주항공산업
  • AI 챗봇: AI 관련주 하락
  • 지능형로봇/산업용 로봇

 

 

 


미국장 현재

'25. 02. 19  12:00
지수 모두 혼조세

어제 급등한 인텔은 5%대 하락중
양자컴퓨팅 관련주들의 강세

 

 

 


관심 뉴스/일정/이슈

“3년 만에 코스피 3000 간다”…‘방산→조선→원전→반도체’ 강세에 낙관론 확산 (서울경제)
  • 코스피, 연일 강세 속에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 및 2670선 돌파 달성.
  •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 전환, 연기금의 지속적인 매수세가 증시 상승의 주요 요인.
  • 증시 거래대금 증가 추세, 신용거래 융자 규모 확대 등 유동성 개선 뚜렷.
  • 조선, 방산, 원전, 반도체, 2차전지 등 다양한 업종에서 순환적 강세 현상 발생.
  • 일부 증권사, 코스피 3000 돌파 가능성 제시, 3월부터 본격적인 강세장 전망 우세.

 

“한국선 노후가 공포인데”…연금 백만장자 넘쳐나는 미국, 비결이 (매일경제)
  • MCGPI 평가에서 한국은 충분성과 지속가능성 지표에서 낮은 점수를 받아 44개국 중 38위를 기록
  • GDP 대비 연금저축 비중이 낮아 OECD 평균(70%)에 비해 한국(25.41%)은 크게 부족한 상황
  • 전문가들은 퇴직연금 가입률 제고와 연금저축 증대를 주요 개선 방안으로 제시
  • 청년층의 국민연금 납입금액 증액,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의 재원 마련 기회 확대 필요
  • 투자 다각화를 통한 수익률 개선, 다양한 연금 상품 개발, 정년 연장 등이 제안됨

 

대명소노, 티웨이홀딩스 통해 티웨이항공 지배하나 (매일경제)
  • 대명소노, 티웨이항공 인수에 나섰으나, 예림당은 모회사 티웨이홀딩스 인수를 제안.
  • 지배구조는 "예림당→티웨이홀딩스→티웨이항공" 형태, 대명소노는 2대 주주.
  • 예림당은 절세 및 매각가 극대화를 위해 티웨이홀딩스 인수를 요구.
  • 대명소노의 가처분 신청 취하로, 예림당 제안 수용 가능성 증가.
  • 티웨이홀딩스 인수 시 대명소노는 티웨이항공 지분율 56%까지 확보 가능.

 

 

 


관심 리포트

바텍: PER 5배는 락바텀 구간 (대신증권)

 

투자의견
  • 투자의견: BUY (유지)
  • 목표주가: 32,000원 (하향, 기존 35,000원에서 8.6% 하향)
  • 현재주가: 20,200원 (2025년 2월 17일 기준)
  • 상승여력: 58.4%

 

실적
  • 4Q24 실적
    • 매출액 1,017억원 (YoY -3%)
    • 영업이익 103억원 (YoY -22%, OPM 10%)으로, 영업이익은 대신증권 추정치 및 컨센서스 하회
  • 매출
    • 국내 83억원 (YoY -16%), 해외 934억원 (YoY -4%)
    • 북미 407억원 (YoY +9%, 5분기 연속 성장)
    • 유럽 258억원 (YoY -3%)
    • 아시아(한국 제외) 162억원 (YoY -15%)
  • 2025년 전망
    • 매출액 4,173억원 (YoY +8%)
    • 영업이익 654억원 (YoY +21%, OPM 16%)

 

주요 내용
  • 북미 시장 고성장: 미국 내 딜러 네트워크 강화 및 인력 충원 효과로 5분기 연속 북미향 매출 고성장
  • 수익성 하락: 해외 사업 확장에 따른 인력 충원 및 프랑스 ADF 참석으로 판촉비 증가하며 OPM 감소, 장기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 성격
  • 금리 인하 및 파트너십 효과: 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으로 장비 수요 증가 예상, 미국 내 1위 치과 유통업체와의 파트너십으로 북미 시장 확대 기대
  • 목표 PER: 2025년 예상 EPS 4,207원에 목표 PER 7.5배 적용 (2022년 평균 12개월 선행 PER 기준)

 

현재 주가 바닥 구간
북미 시장에서의 고성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