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주식 일지

지극히 주관적인 주식일지 - 2025년 1월 24일

 

 

현재 시장의 주도주가 무엇인지 보여줌

 

 

 


매매 현황

매매 현황 (단위: 억)

외국인/기관은 하루만에 순매수세
데이터 센터 급증 및 전력 수요 급증 전망에 전력설비 업종 강세
▷ 자동차 대형주는 약세 - 언제까지?
▷ 트럼프의 나토 방위비 증액 발언에 방산 업종 급등
▷ 로봇, 조선주들 상승세 지속

 

 

 


거래 순위

거래 대금 순위

▷ 신규 상장주 '아스테라시스' 강세 - 미용기기
▷ 전력설비, 우주항공주들 급등
▷ 제약/바이오는 대형주 중심으로 강세
▷ 경영권 분쟁 관련주는 지속적인 거래 활발

 

 


관심 종목/업종/테마

이수페타시스
+28.01%
이차전지 소재 기업 '제이오' 인수 공식 철회
유증 규모 축소 (5500억 -> 2500억)
목표주가 상향 리포트

 

조선
 - 한화오션, 작년 영업이익 4년만에 흑자전환
 - 업종 성장 기대감 지속

방산/우주항공
 - 천리안 5호 개발사업 착수 소식
 - 미, 화성 개척 기대감 
 - 트럼프, 나토 방위비 증액 요구

전력설비
 - AI 데이터 센터 급증
 - 미, 전력망 교체 확대 전망

로봇
 - LG전자, 자율주행로봇 기업 '베어로보틱스' 경영권 확보
 - 로봇 산업 확장 전망 지속

 

 

자동차
 - 현대기아차 최대 실적 발표에도 주가는 하락 - 참 징한..

양자암호
 - 미국 양자컴퓨팅 관련주 하락

 

 

 

 


미국장 현재

'25. 01. 24  12:00 (현지)
지수 모두 약보합
대형 기술주들의 약세, 엔비디아가 가장 큰 하락 (-1.9%)

드론 관련주들의 강세 지속
오클로는 연일 경신 
인튜이티브 서지컬 - 실적 기대감에 상승했지만 실망스런 가이던스에 하락

 

 

 


관심 뉴스/일정/이슈

‘반도체 겨울’ 이겨낸 SK하이닉스, 목표가 줄상향 (서울경제)
  • SK하이닉스,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달성하며 반도체 시장 우려 극복
  • HBM 시장 선두 및 D램 기술력에서 삼성전자 추월 분석
  • JP모건, 맥쿼리 등 글로벌 투자은행 목표주가 대폭 상향
  • SK하이닉스, 10나노급 6세대 D램 양산 앞두고 높은 수율 자신감
  • JP모건 "HBM 수요 증가로 둔화 사이클 속에서도 긍정적 전망"
 
"너로 정했다!"…올해 들어 국민연금이 베팅한 종목은 (한국경제)
  • 트럼프 정부의 경제 정책으로 국내 증시 변동성 증가 예상, 주요 투자기관의 종목 선택 주목
  • 더캐피털그룹, 금융주 저가 매수로 KB금융·하나금융지주 등 지분 확대
  • 블랙록, 네이버 지분율 확대하며 광고 실적 개선과 e커머스 성장세 긍정 평가
  • 국민연금, 이마트·신세계 등 유통 및 코스맥스·한국콜마 등 화장품 ODM 기업 지분율 대폭 증가
  • 국민연금과 베어링자산운용, 반도체 장비 업체 피에스케이 지분 확대하며 공정 전환 수요 증가 기대

 

제이오 인수 철회한 이수페타시스, 증권사 "목표가 2배로 상향" (뉴시스)
  • 이수페타시스, 제이오 인수 철회 발표 후 주가 20% 이상 급등
  • 유상증자 규모 축소로 주식가치 희석 우려 해소, 증권사 목표주가 최대 2배 상향
  • AI 가속기·GPU 프로젝트 수주 지속 및 고다층 MLB 수요 증가 전망
  • 북미 하이퍼스케일러와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, 고대역폭 네트워크 장비 수요 증가 기대
  • 미국 AI 인프라 프로젝트 '스타게이트' 수혜 기업으로 주목받으며 재평가 가능성 상승

 

 

 


관심 리포트

현대차: 관세 한고비 남았다 (SK증권)

 

투자의견
  • 투자의견: 매수(유지)
  • 목표주가: 330,000원
  • 현재주가: 209,000원
  • 상승여력: 57.9%

 

실적
  • 4Q24 실적:
    • 매출액: 46.6조 원(+11.9% YoY)
    • 영업이익: 2.8조 원(-17.2% YoY), 시장 컨센서스 하회
    • 영업이익률: 6.1%
  • 2025년 전망:
    • 매출액: 182.3조 원(+4.0%)
    • 영업이익: 14.5조 원(+1.9%)
    • 전기차(EV) 판매량: +53%, 하이브리드(HEV) 판매량: +30%

 

주요내용
  1. 4Q24 실적 부진 요인:
    • 북미 지역 공급 문제 및 글로벌 경쟁 심화로 인한 인센티브 확대
    • 기말 환율 급등으로 판매보증 충당부채 급증
  2. 2025년 개선 전망:
    • 환율 하락 효과로 1Q25 영업이익 대폭 개선(3.9조 원 전망)
    • 친환경차(EV/HEV) 판매량 증가로 유럽 배출 규제 대응 가능
  3. 미국 관세 이슈:
    • 미국 내 생산 비율 약 70% 이상으로 관세 영향 제한적
  4. AI 및 데이터센터 투자 수혜:
    • 북미 하이퍼스케일러와의 협력으로 800G 이상 고대역폭 스위치 수요 증가
'25년 환율 및 판매 개선 효과 기대
친환경차 비중 증가로 중장기 성장성 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