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식 일지
WiStock's 주식일지 - 2025년 3월 27일
WiWiStock
2025. 3. 28. 02:06
지수/매매 현황
▷ 트럼프, 자동차 관세 공식화
▷ 장 후반으로 갈수록 낙폭 확대하며 지수 모두 1%대 하락
▷ 관세 우려에 자동차 업종 급락
▷ 전력설비, 2차전지, 반도체, 조선 등 대부분 업종 하락
▷ 콘텐츠/엔터, 정치 테마주 상승
거래 순위
▷ 정치테마주들 강세
▷ 제약/바이오는 약세, but HLB는 승인 재도전 기대감에 상승세 지속
▷ 데이터센터 투자 축소 우려에 전력설비 관련주 급락
관심 종목/업종/테마
📌 상승 테마 및 관련주
✅ 콘텐츠/엔터
- 중국 소비 기대감 및 업황 개선
-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
- 관련 업종: 영상콘텐츠, 엔터, 음원
- 관련주: 스튜디오드래곤, 에이스토리, 에스엠, 스튜디오미르, 하이브 등
✅ 화학
- 업황 회복 및 밸류에이션 바닥 탈출 전망
- 관련 업종: 화학
- 관련주: 롯데케미컬, 금호석유 등
✅ 기타 상승 테마/종목
- 정치테마주
✅ 자동차
- 트럼프, 자동차 25% 관세 부과 공식
- 관련 업종: 자동차 생산, 부품
- 관련주: 현대차, 기아, 현대모비스, 모티브링크 등
✅ 2차전지/전기차
- 자동차 관세 우려
- 전기차 업황 악화 우려
- 관련 업종: 배터리 생산/소재/장비, 전기차
- 관련주: LG에너지솔루션, LG화학, 에코프로비엠, 에코프로, 포스코퓨처엠 등
✅ 반도체/전력설비
-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락
- MS, 데이터센터 투자 일부 취소 소식
- 경기 둔화 우려
- 관련 업종: 반도체 생산/소재/장비, 전력설비, 전선
- 관련주: SK하이닉스, 한미반도체, HPSP, HD현대일렉트릭, 일진전기 등
✅ 기타 하락 테마/종목
- 조선
- 인터넷
미국장 현재
'25. 03. 27 12:20
주요 지수 혼조세
S&P 500 +0.07%, 나스닥 +0.11%, 다우 -0.11%
자동차 수입 관세 발표로 무역 전쟁 우려 및 경기 침체 가능성 제기
미국 자동차 제조사들의 주가 하락
테슬라: 상대적으로 관세 영향이 적을 것으로 예상돼 상승(+4%)
관심 뉴스/일정/이슈
바이오·2차전지 무너지자 코스닥 '눈물' (매일경제)
- 코스닥, 2월 19일 고점 대비 9.09% 하락, 한 달 수익률 -8.22%로 주요국 지수 중 최하위
- 2차전지, 바이오 섹터 대장주 급락과 경기 부진으로 상승 모멘텀 감소
- 코스닥150산업재 -17.57%, 헬스케어 -13.08%, 일반서비스 -10.79%, 전기전자 -9.87% 하락
- 바이오 섹터: 알테오젠 -12.33%, HLB -36.65%, 미국 금리 인하 지연과 관세 리스크로 불확실성 증가
- 2차전지 섹터: 에코프로비엠 -19.25%, 전기차 수요 둔화와 기술력·원가경쟁력 모멘텀 부재로 투자 매력도 하락
올해 최대치 찍은 비과세 배당… 소액주주, 대주주 윈윈 (매일경제)
- 자본준비금 감액을 통한 비과세 배당이 국내 증시의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
- 2025년 126개 기업이 자본준비금 감액 안건 상정, 전년 대비 크게 증가
- 우리금융지주, 한국금융지주, 셀트리온 등 다양한 기업들이 비과세 배당 실시
- 주주들은 배당소득세 및 금융소득종합과세 회피 가능, 기업은 배당 재원 확보
- 세수 감소와 채권자 보호 약화 등 우려에도 불구하고 당분간 확대 전망
'AI 거품론 여파' 전력주 줄약세…HD현대일렉트릭 8%대↓[핫종목] (뉴스1)
- AI 버블 우려 재점화, MS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중단 소식에 전력기기주 급락
- HD현대일렉트릭 -8.71%, LS일렉트릭 -6.52%, 효성중공업 -6.93% 하락, 기관/외국인 순매도
- TD 코헨, MS 프로젝트 중단 원인으로 AI 클라우드 과잉 공급 지적
- 엔비디아 H20 사용 자제 및 에너지 효율 규제 발표, 미 증시 반도체 기술주 하락 영향
- SK하이닉스 -3.27%, 한미반도체 -6.12% 하락, 삼성전자는 레거시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에 소폭 상승
관심 리포트
에이피알: 1Q25 Preview: 1분기 예상보다 더 강하다 (유안타증권)
1️⃣ 투자의견
- 투자의견: BUY (유지)
- 목표주가: 90,000원 (상향, 기존 77,000원)
- 현재주가: 69,800원 (3/26 기준)
- 상승여력: 29%
2️⃣ 실적
- 2025년 1분기 실적 전망: 매출액 2,250억 원(+51% YoY), 영업이익 410억 원(+48% YoY) (시장 기대치 상회)
- 2025년 전체 실적 전망: 매출액 1조원, 영업이익 1,820억원
- 향후 실적 성장 요인: 미국, 일본, 유럽 시장의 B2B 채널 확장 및 B2C 플랫폼 성장
3️⃣ 주요 내용
- 미국 시장: 메디큐브, 아마존 Big Spring Sale 뷰티 부문 1위 등극, 미국 시장 매출 목표 3,000억 원
- 일본 시장: 2024년 매출액 522억 원, 2025년 1,000억 원 예상, 오프라인 B2B 유통망 3,000개 입점 추진
- 유럽 시장: 2분기부터 신규 B2B 채널 진입 확대, 중장기 실적에 긍정적 영향 기대
4️⃣ 결론
- 아마존에서의 매출 성과로 단기 모멘텀
- B2B 채널 확장으로 중장기 성장 모멘텀
- 미국에서의 성장 발판으로 일본, 유럽으로의 확장이 기업 가치 상승으로